x=np.arange(16).reshape(4,2,2)
print(x)
print('=====================')
x=np.arange(16).reshape(2,2,2,2)
print(x)
인공지능을 하면서 텐서를 써야할 일이 많을 것 같아 위의 코드를 찍어보니
이런 식으로 나와 도통 눈으로 구별하기 쉽지 않았다. =_=
그래서 직접 그려봄!
1) x=np.arange(16).reshape(4,2,2) 의 경우
2) x=np.arange(16).reshape(2,2,2,2) 의 경우
일단 reshpae(4,2,2)와 reshpae(2,2,2,2) 둘 다 마지막 2,2 는 가장 작은 행의 행x열이 되는 것 같다.
그럼 앞에 남은 4와 2,2가 문제인데,
가장 최상단의 4와 2는 가장 바깥쪽 행렬 내에 있는 두 번째로 큰 행렬의 수가 되는 것 같다.
그리고 남은 중간의 2는 다시 두 번째로 큰 행렬을 2로 나눈것이 되는 것 같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을 감사히 받겠습니다.
'언어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원 tensor axis에 따른 np.sum() 정리 (0) | 2022.12.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