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11

[깜신의 통계 왕초보 탈출] 6탄. 두 그룹간 평균 비교

두 그룹간 평균 비교 1. t-test (students, independent) 2. Mann-Whitney u test (wil coxon rank-sum test, Mann Whitney-Wilcoxon, MWW) 3. Welch's t-test 고려 요인 1) 결과 값이 연속 변수가 아니라면? 2. MWW 시행 고려 요인 2) 결과 값이 연속 변수 이지만 정규분포가 아니라면? 2. MWW 시행 고려 요인 3) 결과 값이 연속 변수 이면서 정규분포 이면서 두개의 분산이 같다면? 1. t-test 시행 고려 요인 4) 결과 값이 연속 변수 이면서 정규분포 이면서 두개의 분산이 다르다면? 3. Welch's t-test 시행

[깜신의 통계 왕초보 탈출] 5탄. Power Analysis

Power Analysis 어떤 통계 분포가 잘 안나오는게 n수가 부족해서 인지 아니면 정말 비교군/대조군의 차이점이 없어서 인지 확인하는 방법. 즉 정정한 n수를 측정하는 방법 Effective size (d) : cohen's d라는 공식을 사용함. 실험군과 대조군의 n수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하는 공식. 두 그룹의 n수가 서로 같다면 분모값인 pooled SD(standard deviation) 를 계산하면 되고, n수가 서로 다른 경우라면 poolded SD에 가중치를 더해서 구해줌 mean.1 : 첫 번째 그룹의 평규느 S.1 : 첫 번째 그룹의 표준편차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5. 오차역전파법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5. 오차역전파법 1. 152page 역전파에 의한 미분 값의 전달 다른건 다 이해가 되는데 사과의 개수가 2라고 미분값이 왜 2.2가 되는지 모르겠음 사과의 개수가 2라서 2.2가되는게 아니라, 220/200=1.1에다가 100/200을 해주면 2.2가 나옴 2. 167page Sigmoid 계층 미분값이 왜 저리 되는지 모르겠음 3. 168page Sigmoid 계층 미분값이 왜 저리 되는지 모르겠음 e의 x승의 미분값은 e의 x승이다. 4. 169page Sigmoid 계층 식 전개를 못하겠음

수학/공부노트 2022.12.27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4. 신경망 학습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4. 신경망 학습 수학 질문사항 1. 114page 교차 엔트로피 교차 엔트로피 식에서 정답에 해당하는 출력이 커질수록 왜 0에 다가가는가? 정말 말그대로 그림 4-3의 그래프를 해석한 것임. 그림4-3 그래프의 x값이 커질 수록 y값이 0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의미함 2. 120page 미분 미분값이 0이라는 의미가 무엇인가?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로 변화량이 없다는 뜻을 말함

수학/공부노트 2022.12.22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3. 신경망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3. 신경망 수학 질문사항 1. 93page 소프트맥스 구현 시 주의점 왜 C를 지수함수 exp() 안으로 옮겨 logC로 만들 수 있는지? 노란색 공식이 1, 2와 빨간색 공식에 의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2. 95page 소프트맥스 함수의 특징 단조 증가 함수란 무엇인지? 아래 그림과 같이 a

수학/공부노트 2022.12.21

확률과 통계 공부노트

역시 기초 개념이 없어서 '모두의 인공지능 기초수학'에 나오는 목차를 참고하며 유투브를 보고있다. 유투브 추천은 '수악중독'.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이신 듯 한데 아무것도 모르는 학생들(마치 나같은 ㅜㅜ)에게 차근차근 하나씩 알려주신다. 거의 1타 강사급으로 잘가르치시는 것 같음.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XJ3W1lEGK8Wk4wec4wJA6hFg3-t_div9 질문 사항 1. 적분이 무엇인지..? 아래 그래프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적분값이라고 함 적분식이 아래와 같다면 -무한대부터 +무한대까지의 그래프의 넓이를 의미함 2. 표준정규분포의 0 1 1 이 이핵가 안감. 또 x-m/시그마 로 나오는게 이해가 안됨! https://youtu.be/h42OQJL9bQM(..

수학/공부노트 2022.12.21

모두의 인공지능 기초수학 (+무료 강의 추천)

수학을 정말 못하는 사람으로서 모두의 인공지능 기초수학 강의를 선형대수학 까지 들었다. 주로 들은 강의는 인프런 유료강의 인데,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중간중간 이해 안되는 부분을 유튜브를 찾아가면서 선형대수학까지를 완강할 수 있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9D%B8%EA%B3%B5%EC%A7%80%EB%8A%A5-%EA%B8%B0%EC%B4%88%EC%88%98%ED%95%99/dashboard 인공지능 기초수학 - 인프런 | 강의 학창시절 수포자였나요? 인공지능에서 수학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막막하나요? 인공지능에서 수학이 중요한 이유는, 인공지능(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연산 과정에서 수학 www.inflearn.com..

수학 2022.12.19

선형독립과 선형 종속 유투브 강의 정리

선형독립과 선형 종속 참고 강의 : https://www.youtube.com/watch?v=qFOY_f0FHls (Joonsuk Park) https://www.youtube.com/watch?v=B06VhZqYuAI (Joonsuk Park) ★핵심★ 벡터 v3가 v1 과 v2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면 v3는 선형 종속(다른 것에 의해 종속되어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암기)이라고 한다. 반대로 나타낼 수 없다면 선형 독립(다른 것에 대해 독립적이다 라는 뜻으로 암기) 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