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중한 블로그

  • 홈
  • 태그
  • 방명록

d값 1

[깜신의 통계 왕초보 탈출] 5탄. Power Analysis

Power Analysis 어떤 통계 분포가 잘 안나오는게 n수가 부족해서 인지 아니면 정말 비교군/대조군의 차이점이 없어서 인지 확인하는 방법. 즉 정정한 n수를 측정하는 방법 Effective size (d) : cohen's d라는 공식을 사용함. 실험군과 대조군의 n수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하는 공식. 두 그룹의 n수가 서로 같다면 분모값인 pooled SD(standard deviation) 를 계산하면 되고, n수가 서로 다른 경우라면 poolded SD에 가중치를 더해서 구해줌 mean.1 : 첫 번째 그룹의 평규느 S.1 : 첫 번째 그룹의 표준편차

수학/확률과 통계 2023.08.09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망중한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35)
    • 언어 (2)
      • 파이썬 (2)
      • Langchain (0)
    • 인공지능 (17)
      • 딥러닝 (10)
      • 머신러닝 (3)
      • XAI (4)
      • LLM (0)
    • 수학 (11)
      • 미분 (1)
      • 선형대수학 (1)
      • 확률과 통계 (2)
      • 공부노트 (6)
    • 생각 (1)
      • 공부 (1)
      • 일상 (0)
    • 웹개발 (3)
      • 리액트 (1)
      • css (2)

Tag

d값, 인공지능 수학, confusion matrix 헷갈려요, indicator function, Counterfactual Visual Explanations, power analysis, 수식 E, 수식 I, ICML 2019, 딥러닝, 인디케이터 펑션, 리액트 맥북, effective size, welch's t-test, 선형대수학, 로지스틱회귀 E, 신경망 수학, u-test, ResNet 용어, 김종엽,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