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cator Function (수식의 I) Indicator Function이란? 이런 수식이 있다고 쳐보자. 갑자기 I가 나와서 뜬금없을 것이다 ㅠㅠ 이때의 I는 Indicator function이라고 하고, 괄호 안의 값이 False이면 0, True이면 1을 내뱉는 함수이다. 따라서 만약 x1, x2의 값이 R3에 있다고 치면, 수식은 다음과 같이 전개될 수 있고 최종 sum은 C3가 된다. 출처 : https://youtu.be/xki7zQDf74I 인공지능/머신러닝 2023.02.11
4차원 tensor axis에 따른 np.sum() 정리 일단, 아래에서 말하는 행, 렬은 모두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말하는 것임. 1) axis = 0 인 경우 큰 행렬 입장에서의 열을 더하는 경우 2) axis =1 인 경우 큰 행렬 입장에서 행을 더하는 경우 3) axis =2 인 경우 작은 행렬 입장에서 열을 더하는 경우 4) axis =3 인 경우 작은 행렬 입장에서 행을 더하는 경우 참고 유투브 : https://youtu.be/gWyVWXFDrW0 (수원대 한경훈교수님)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언어/파이썬 2022.12.30
python 3차원 tensor, 4차원 tensor x=np.arange(16).reshape(4,2,2) print(x) print('=====================') x=np.arange(16).reshape(2,2,2,2) print(x) 인공지능을 하면서 텐서를 써야할 일이 많을 것 같아 위의 코드를 찍어보니 이런 식으로 나와 도통 눈으로 구별하기 쉽지 않았다. =_= 그래서 직접 그려봄! 1) x=np.arange(16).reshape(4,2,2) 의 경우 2) x=np.arange(16).reshape(2,2,2,2) 의 경우 일단 reshpae(4,2,2)와 reshpae(2,2,2,2) 둘 다 마지막 2,2 는 가장 작은 행의 행x열이 되는 것 같다. 그럼 앞에 남은 4와 2,2가 문제인데, 가장 최상단의 4와 2는 가장 바깥쪽 행.. 언어/파이썬 2022.12.30
벡터의 내적 공부노트 1. 수악중독 (https://www.youtube.com/watch?v=IOf1o72aKDc) 3분 30초 - 세타의 크기가 왜 0보다 크거나 같고 파이보다 작거나 같은지 모르겠다. => 삼각형 각의 크기이기 때문에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아야한다. 3. 수악중독 (https://www.youtube.com/watch?v=IOf1o72aKDc) 8분 - cos0이 왜 1인가? => cos의 그래프가 아래와 같이 생겼으므로 수학/공부노트 2022.12.28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5. 오차역전파법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5. 오차역전파법 1. 152page 역전파에 의한 미분 값의 전달 다른건 다 이해가 되는데 사과의 개수가 2라고 미분값이 왜 2.2가 되는지 모르겠음 사과의 개수가 2라서 2.2가되는게 아니라, 220/200=1.1에다가 100/200을 해주면 2.2가 나옴 2. 167page Sigmoid 계층 미분값이 왜 저리 되는지 모르겠음 3. 168page Sigmoid 계층 미분값이 왜 저리 되는지 모르겠음 e의 x승의 미분값은 e의 x승이다. 4. 169page Sigmoid 계층 식 전개를 못하겠음 수학/공부노트 2022.12.27
신경망 학습의 전반적인 과정 신경망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어떤 사진이 숫자 5일 확률을 예측한다면, 1. 처음에 어떤 사진이 5일 확률을 아무렇게나 예측하는 초기값을 설정해준다. 이때 설정하는 초기값은 가중치, 편향이다. 2. 초기값이 얼마나 잘 맞췄는지를 계산해 주기 위해 활성화 함수를 통해 입력값이 출력값을 활성화 시키는지를 판별하고(시그모이드), 출력을 확률(소프트맥스)로 바꿔준다. 3. 정답데이터와 2에서 계산한 확률을 비교하여 얼마나 정답에 가까운지를 구하고 싶다. 이를 위해 2에서 계산한 확률의 좋고 나쁨의 점수(손실함수)를 계산할 것이다. 4. 그 후 할 일은 좋고 나쁨의 점수를 최솟값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제일 좋은 값이다. 지금 함수 내에서 우리가 어디 있는지 정.. 인공지능/딥러닝 2022.12.27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4. 신경망 학습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4. 신경망 학습 수학 질문사항 1. 114page 교차 엔트로피 교차 엔트로피 식에서 정답에 해당하는 출력이 커질수록 왜 0에 다가가는가? 정말 말그대로 그림 4-3의 그래프를 해석한 것임. 그림4-3 그래프의 x값이 커질 수록 y값이 0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의미함 2. 120page 미분 미분값이 0이라는 의미가 무엇인가?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로 변화량이 없다는 뜻을 말함 수학/공부노트 2022.12.22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 Chapter 3. 신경망 공부노트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1 chapter3. 신경망 수학 질문사항 1. 93page 소프트맥스 구현 시 주의점 왜 C를 지수함수 exp() 안으로 옮겨 logC로 만들 수 있는지? 노란색 공식이 1, 2와 빨간색 공식에 의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2. 95page 소프트맥스 함수의 특징 단조 증가 함수란 무엇인지? 아래 그림과 같이 a 수학/공부노트 2022.12.21
확률과 통계 공부노트 역시 기초 개념이 없어서 '모두의 인공지능 기초수학'에 나오는 목차를 참고하며 유투브를 보고있다. 유투브 추천은 '수악중독'.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이신 듯 한데 아무것도 모르는 학생들(마치 나같은 ㅜㅜ)에게 차근차근 하나씩 알려주신다. 거의 1타 강사급으로 잘가르치시는 것 같음.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XJ3W1lEGK8Wk4wec4wJA6hFg3-t_div9 질문 사항 1. 적분이 무엇인지..? 아래 그래프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적분값이라고 함 적분식이 아래와 같다면 -무한대부터 +무한대까지의 그래프의 넓이를 의미함 2. 표준정규분포의 0 1 1 이 이핵가 안감. 또 x-m/시그마 로 나오는게 이해가 안됨! https://youtu.be/h42OQJL9bQM(.. 수학/공부노트 2022.12.21
코딩애플 딥러닝 강의 후기 "문과여도 상관없다 Tensorflow 딥러닝 AI 기초부터 실무까지" 수학을 못하는 나에게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강의 제목. 모든 강의를 다 따라하며 진행했는데, 정말 쉽게 딥러닝 주요 이론을 한 번 쭉~실습하며 훑을 수 있다. 딥러닝이 그래서 도대체 뭔데? 하는 정도의 입문자에게 추천한다. 들으면 딥러닝 생각보다 별거 아니네? 하는 느낌을 일시적으로 가질 수 있다. + 코딩애플님은 정말 난사람이다.... 인공지능/딥러닝 2022.12.19